반응형
MAC M1 기준으로 설명된 글 입니다.
NestJS는 Node.js 기반으로 일단 node.js 설치가 필요
node.js를 쓰려면 nvm을 사용하는 것이 좋음
nvm 이란 Node Version Manager라는 말 그대로 Node.js의 버전을 관리해주는 프로그램
개발자가 한 계정에 여러 버전의 Nodejs을 설치하고 원하는 버전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
homebrew로 nvm 설치
brew install nvm
nvm 설치 확인
nvm -v
0.39.3
node.js LTS 버전 설치(2023.03.20 기준 v18.15.0)
nvm install v18.15.0
nvm use v18.15.0
nodejs, npm 설치 확인
node -v
v18.15.0
npm -v
9.5.0
npm으로 nestjs cli 설치
npm i -g @nestjs/cli
i 명령어는 install 명령어의 약어
-g 옵션은 컴퓨터의 글로벌 환경에 설치하겠다는 것으로, 모든 디렉토리에서 참조할 수 있음
참고로 글로벌 환경에서 패키지가 설치되는 경로는 npm root -g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음
nestjs 설치 확인
nest -v
9.3.0
이제 간단하게 프로젝트를 생성하고
서버를 구동해보자
초기 프로젝트 생성
nest new project-name
생성시 어떤 패키지 매니저를 사용할 것인지 물어봄, 나는 npm을 사용

참고로 yarn은 npm과 함께 많이 쓰이는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패키지 매니저
npm과 마찬가지로 라이브러리간 의존성을 관리할 수 있음
생성한 프로젝트 폴더에 들어가서 서버 수행
npm run start
localhost:3000에서 초기화면 확인

반응형